[방수.단열] 철골트러스까지 꼼꼼하게! 서천 지붕 우레탄폼 단열 시공 현장 공개
본문

2. 시공 목표 및 포인트
* 연속 단열층 확보 : 지붕 하부, 트러스 측면·하면, 코너까지 빈틈 없이 피복
* 기밀성 100% 달성 : 배관, 전선 관통부 실링 처리 → 공기 누설 제로화
* 결로·곰팡이 방지 : 동절기 성에, 하절기 복사열 문제 예방
* 균일 두께 유지 : 2~3회 분사로 평균 40~70mm 두께 확보
* 철골부 부식 억제 : 트러스 측면까지 덮어 온도 변동 완화

3. 본격 시공 과정
3-1. 사전 준비 작업
우선 지붕 내부와 철골 트러스 표면의 먼지와 분진을 제거해 우레탄폼 접착력을 높였습니다. 창호, 배관, 전선 등 노출 설비는 보양 작업으로 보호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온·습도와 표면 수분 상태를 점검해 분사 품질에 영향을 줄 요소들을 사전에 차단했습니다.
3-2. 고압 이성분 분사 시공
시공은 고압 이성분 발포 방식으로 진행했습니다.
1. 1차 패스 – 트러스 접합부, 모서리, 배관·전선 관통부 먼저 충진
2. 2차 패스 – 지붕 평면부 전체에 연속막을 형성
3. 보강 패스 – 두께가 얇은 부분은 3차 보강으로 일정 두께 맞춤
4. 관통부 실링 – 배관 주변은 도넛 형태로 감싸 기밀성을 극대화
3-3. 경화·검수 및 마감
자연 경화 후 표면의 핀홀, 빈틈 여부를 시각·촉진으로 검사했습니다. 랜덤 위치에서 두께를 측정해 허용오차 ±10% 내에서 관리했고, 마지막으로 오버스프레이 잔여물을 제거해 내장 마감 준비를 마쳤습니다.

4. 품질관리 체크리스트
* 코너, 벽체 상부, 트러스 접합부에 빈틈·핀홀 없음
* 배관·전선 관통부 360° 연속 피복 확인
* 철골 트러스 측면·하면까지 충분히 피복
* 표면 경도 양호, 손톱으로 눌렀을 때 과도한 압흔 없음
* 시공 후 충분한 환기 실시 → 냄새·가스 잔류 최소화

5. 시공 전·후 효과 비교
| 구분 | 시공 전 | 시공 후 |
| | | |
| 겨울철 | 지붕 냉기 전달, 결로·성에 발생 위험 | 결로 현상 억제, 실내 온도 안정 |
| 여름철 | 지붕 복사열로 내부 온도 급상승 | 복사열 차단, 냉방부하 감소 |
| 구조물 | 열교 발생, 트러스 부식 가능 | 철골 온도변화 완화, 부식 억제 |
| 쾌적성 | 외부 소음·먼지 유입 | 기밀 향상으로 소음·먼지 감소 |

6. 경질 우레탄폼의 장점
* 초저열전도율 : 얇은 두께로도 뛰어난 단열성능
* 틈새 충진 우수 : 복잡한 트러스 구조, 배관 주변에도 완벽 시공
* 방습·기밀층 동시 형성 : 결로 방지에 탁월
* 시공 속도 빠름 : 공기 단축 + 경화 후 안정성 우수

7. 유지관리 & A/S 안내
* 후속 설비 시공 시 폼 손상 최소화, 절단면은 재실링 필수
* 지붕 환기 루버, 다락 내부 결로 여부 주기적 점검
* 혹한기 최초 난방 가동 후 1\~2회 결로 점검 권장
* 누수·결로 발생 시 즉시 보수 → 연속막 복원 중요
이번 서천 경질우레탄폼 지붕단열 시공은 단순히 단열재를 뿌린 작업이 아니라, 틈새 없는 연속단열·기밀 시공으로 열교를 원천 차단한 프로젝트였습니다. 복잡한 철골 트러스와 배관·전선 관통부까지 꼼꼼히 충진해 동절기 결로·곰팡이, 하절기 복사열 문제를 동시에 해결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쾌적한 실내환경과 냉난방비 절감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한 현장이었습니다.

